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란 무엇인가?
1. 유클리디안 거리란?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는 두 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수학적 척도입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직선 거리” 개념과 동일하며,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거리 계산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개념은 피타고라스의 정리에서 유래하며, 2차원뿐만 아니라 n차원 공간에서도 적용됩니다. Table of Contents 2. 유클리디안 거리 공식 두 점 $𝑃(𝑥_1, 𝑦_1)$와 $𝑄(𝑥_2, 𝑦_2)$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d(P,Q) = \sqrt{(x_2 - x_1)^2 + (y_2 - y_1)^2}$$ 일반화된 공식 (n차원 공간) n차원 공간에서 두 점 $P(x_1, x_2, …, x_n)$과 $Q(y_1, y_2, …, y_n)$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BM25란 무엇인가?
BM25란 무엇인가? BM25는 정보 검색(IR, Information Retrieval)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중치 기반 검색 알고리즘입니다. 검색 쿼리와 문서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관련도가 높은 문서를 반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BM25는 TF-IDF를 기반으로 확장된 모델로, 특히 텍스트 검색 시스템에서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Table of Contents BM25의 핵심 개념 BM25는 TF-IDF의 한계를 보완하며, 문서 길이 정규화와 단어 빈도의 포화 현상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의 가변성과 현실적인 단어 분포를 더 잘 반영합니다. ...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란 무엇인가?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란 무엇인가? 최근 몇 년간 자연어 처리(NLP)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들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LLM은 모든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추론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어, 최신 정보나 방대한 외부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입니다. Table of Contents RAG의 개념 RAG는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의 약자로, 대규모 언어 모델(Generation)과 외부 정보 검색(Retrieval)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입니다. 이 기술은 다음 두 가지 단계를 통해 작동합니다: ...
TF-IDF란 무엇인가?
TF-IDF란 무엇인가?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할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TF-IDF입니다. 이는 문서 내 단어의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정보 검색, 텍스트 마이닝,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TF-IDF의 개념과 계산 방법, 그리고 실제 활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F-IDF의 정의 TF-IDF는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의 약자로, 단어의 빈도(TF)와 역문서 빈도(IDF)를 결합하여 특정 단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1. TF (Term Frequency, 단어 빈도) 단어 빈도는 특정 단어가 문서 내에서 얼마나 자주 등장했는지를 나타냅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리눅스에서 Apahce의 웹사이트 접근제한을 설정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Apahce의 웹사이트 접근제한을 설정하는 방법 Apache 웹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특정 디렉토리나 파일에 대해 접근을 제한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htpasswd와 .htaccess 파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htpasswd, htaccess 명령어와 각 옵션들을 다루며, 예제를 통해 설정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htpasswd 파일: 사용자 인증 파일 .htpasswd 파일은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된 파일입니다. Apache는 이 파일을 참조해 특정 사용자의 인증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에서 Apache HTTP 서버 설정하는 방법
루트 … server management, shell scripting, system administration, terminal, unix, 리눅스에서, 방법, 설정하는 Apache HTTP Server(httpd)는 리눅스에서 널리 사용되는 웹 서버입니다. httpd.conf 설정 파일을 통해 다양한 서버 옵션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서버를 설정할 때 자주 사용하는 주요 항목들과 그 예시를 소개하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ServerRoot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설정입니다. Apache는 이 데릭토리에서 로그 파일이나 설정 파일을 찾습니다. 1 ServerRoot "/etc/httpd" 기본적으로 /etc/httpd 경로를 많이 사용합니다. 2. Listen 서버가 요청을 대기할 포트와 IP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기본적으로 웹서버는 80 포트를 사용하지만, 이 설정을 통해 다른 포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에서 passwd를 사용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passwd를 사용하는 방법 passw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특히 시스템 관리자가 여러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정책을 관리할 때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asswd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과 실제 사용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기본 사용법 기본적으로 passwd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passwd 명령어만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프롬프트가 나타나며, 새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요청이 뜹니다. 1 passwd 2. 주요 옵션 1. 특정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1 passwd [username] 관리자(root) 계정에서는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을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변경됩니다. ...
리눅스에서 netstat를 사용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netstat 명령어 사용법 오늘은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 netsta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문제 해결이나 서버 상태 모니터링에 자주 사용되는데요, netstat의 주요 옵션과 함께 활용법을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Table of Contents netstat 명령이란? netstat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등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입니다. netstat을 사용하면 현재 어떤 포트가 열려 있는지, 어떤 프로세스가 특정 포트를 사용 중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에서 nmap 사용하는 방법
keywords: bash, command line, linux, monitoring, network, nmap, nmap으로, server management, shell scripting, system administration, terminal, topology, unix, 네트워크, 리눅스에서, 분석하기 tags: [linux nmap network monitoring topology] title: 리눅스에서 nmap으로 네트워크 분석하기 ShowToc: true draft: false# 리눅스에서 nmap으로 네트워크 분석하기 nmap(Network Mapper)은 네트워크의 IP, 포트, 서비스 등을 스캔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이해하고 보안 점검을 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다음은 nmap의 주요 옵션과 그 사용 예시입니다. Table of Contents nmap 의 주요 옵션 기본 스캔 1 nmap <IP 주소> 기본 스캔 명령어로 지정한 IP에 열려 있는 포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Sp (Ping 스캔) 네트워크 내의 장치 목록을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
리눅스에서 stickybit 사용하는 방법
keywords: SetGID, SetUID, StickyBit, bash, command line, linux, server management, shell scripting, system administration, terminal, unix, 리눅스에서, 방법, 부여하는, 특수권한을 tags: [linux StickyBit SetUID SetGID] title: 리눅스에서 특수권한을 부여하는 방법 ShowToc: true draft: false# 리눅스에서 특수권한을 부여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Sticky Bit, SetUID, SetGI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특수 권한을 설정하여 특정한 조건에서 사용자 권한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각 특수 권한의 사용 방법과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Sticky Bit 설명 : Sticky Bit는 주로 디렉토리에 설정되어, 해당 디렉토리 내 파일을 소유자나 루트 사용자만 삭제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공용 디렉토리에서 의도치 않은 파일 삭제를 방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사용 방법 : chmod +t 디렉토리명 예시 : /tmp 디렉토리처럼 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공용 디렉토리에 Sticky Bit를 설정하면 각 사용자들이 자기 소유의 파일만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1 2 3 chmod +t /some_directory ls -ld /some_directory # 결과 예시: drwxrwxrwxt ... 2. SetUID (Set User ID) 설명 : SetUID는 파일 소유자의 권한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특수 권한입니다.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현재 사용자가 아니라 파일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주로 루트 권한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에 사용됩니다. 사용 방법 : chmod u+s 파일명 예시 : /usr/bin/passwd 명령어는 SetUID가 설정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가 실행해도 루트 권한으로 암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2 3 chmod u+s /some_program ls -l /some_program # 결과 예시: -rwsr-xr-x ... 3. SetGID (Set Group ID) 설명 : SetGI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자 권한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특수 권한입니다. 파일에 SetGID가 설정되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그룹 권한을 변경할 수 있고, 디렉토리에 SetGID가 설정되면 새로 생성되는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자가 해당 디렉토리의 그룹과 동일하게 설정됩니다. 사용 방법 : chmod g+s 파일명(or 디렉토리명) 예시 : 디렉토리에 SetGID를 설정하여 특정 그룹 소속 사용자들끼리 파일을 공유할 때 파일의 그룹 소유자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2 3 chmod g+s /some_directory ls -l /some_directory # 결과 예시: drwxrwsr-x ... 추가 예시: 특수 권한 확인하기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특수 권한은 ls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에서 권한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