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RPM은 Red Hat을 비롯한 CentOS, Fedora 등 Red Hat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rpm 확장자를 가진 패키지 파일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RPM은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 관리, 버전 관리, 파일 무결성 검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RPM은 패키지 파일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합니다. 패키지 파일에는 설치할 파일과 디렉토리,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의존성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PM을 통해 설치된 모든 패키지 정보는 /var/lib/rpm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RPM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됩니다.


RPM을 사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1
sudo rpm -ivh [패키지 이름].rpm
  • -i : 패키지 설치
  • -v : 설치 진행 상황을 상세히 출력
  • -h : 진행 상황을 해시(#)로 표시

예를 들어, example.rpm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sudo rpm -ivh example.rpm

설치된 패키지를 제거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1
sudo rpm -e [패키지 이름]

예를 들어, example이라는 이름의 패키지를 제거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sudo rpm -e example

주의할 점은 패키지 이름은 .rpm 확장자 없이 입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1
sudo -qi [패키지 이름]

예를 들어, example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sudo -qi example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패키지 이름, 버전, 설명, 설치 날짜 등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치된 모든 패키지 리스트를 보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1
sudo -qa

RPM은 설치된 패키지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파일이 손상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1
rpm -V [패키지 이름]

이 명령어를 통해 패키지 파일의 크기, 권한, 해시 등을 검증할 수 있으며, 검증 결과가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알려줍니다.


RPM은 Red Hat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서 필수적인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이 블로그에서 소개한 RPM의 설치, 제거, 정보 확인 및 검증 방법을 통해 리눅스 시스템에서의 패키지 관리를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RPM을 잘 활용하면 시스템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