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VSFTP 서버를 설정하는 방법
apt u… terminal, unix, vsftp, 리눅스에서, 방법, 서버를, 설정하는 VSFTP(Very Secure FTP)는 빠르고 안전한 FTP 서버 프로그램으로, Linux에서 손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Linux 환경에서 VSFTP 서버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Table of Contents VSFTP 서버 설치 먼저, 터미널에서 VSFTP를 설치합니다. 1 2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vsftpd 설치가 완료되면 VSFTP 서버가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VSFTP 서비스 상태 확인 설치 후 서버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1 sudo systemctl status vsftpd 정상 작동 중이라면 active (running) 상태로 표시됩니다.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검사 도구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시스템 종료, 디스크 오류, 하드웨어 문제 등으로 인해 파일 시스템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문제를 수정하기 위해 Linux에서는 fsc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fsck 명령어의 개념, 사용 방법, 다양한 옵션을 다뤄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1. fsck란 무엇인가? fsck는 File System Consistency Check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검사하며, 블록과 inode(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를 검증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리눅스에서 로그를 관리하는 방법
Logrotate: 로그 관리를 위한 자동화 도구 logrotate는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 로그 파일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Linux 유틸리티입니다. 로그 파일이 일정 크기에 도달하거나 일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 logrotate를 통해 로그를 자동으로 순환(rotating)하고 필요 시 압축,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로그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로그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Logrotate의 기본 원리 logrotate는 주기적으로 로그 파일의 상태를 점검하고, 설정 파일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로그 파일을 순환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파일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새 로그 파일을 생성하고 기존 파일을 백업하거나 삭제하여 로그 파일 크기를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오래된 로그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RPM 명령 및 옵션
Table of Contents RPM은 Red Hat을 비롯한 CentOS, Fedora 등 Red Hat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rpm 확장자를 가진 패키지 파일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RPM은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 관리, 버전 관리, 파일 무결성 검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RPM은 패키지 파일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합니다. 패키지 파일에는 설치할 파일과 디렉토리,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의존성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PM을 통해 설치된 모든 패키지 정보는 /var/lib/rpm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RPM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됩니다. ...
리눅스 사용자 설정 파일
/etc/default/useradd 리눅스 시스템에서 useradd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설정값을 지정할 수 있는 파일이 바로 /etc/default/useradd입니다. 이 파일을 통해 사용자 계정 생성 시 기본 옵션을 설정할 수 있어, 일관성 있고 효율적인 사용자 계정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파일의 역할 /etc/default/useradd 파일은 새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적용되는 기본 설정값을 정의합니다. 시스템 관리자는 이 파일을 통해 사용자가 생성될 때 적용되는 홈 디렉토리 위치, 만료 기간, 기본 그룹 등을 미리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 관리하는 방법
system administration, terminal, unix, useradd, userdel, usermod, 관리, 리눅스, 사용자 사용자 관리 명령어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하는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useradd, usermod, userdel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useradd - 사용자 생성 useradd 명령어는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UID, 기본 쉘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1 useradd [옵션] 사용자이름 주요 옵션 -d [경로] : 홈 디렉토리 경로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home/사용자이름 입니다. -m : 홈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홈 디렉토리 경로를 지정하지 않으면 /home/사용자이름에 생성됩니다. -s [쉘] : 기본 쉘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bin/bash입니다. -u [UID] : 사용자 ID를 지정합니다. UID는 고유해야 합니다. -g [그룹] : 기본 그룹을 지정합니다. 예제 1 2 3 4 5 # 기본 설정으로 사용자 생성 useradd user1 # 홈 디렉토리를 `/home/user1`으로 생성하고 기본 쉘을 `/bin/bash`로 설정 useradd -m -s /bin/bash user1 usermod - 사용자 수정 usermod 명령어는 기존 사용자의 정보를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